티스토리 뷰
오늘은 현장직 근로자라면 무조건 알고 있어야 하는 필수 사이트, 바로 '건설근로자 하나로서비스 (1122.cw.or.kr)'에 대해 정리해 드리려 합니다. 2025년 현재 내 퇴직공제금이 얼마나 쌓였는지, 그리고 놓치고 있던 쏠쏠한 복지 혜택은 무엇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건설근로자 하나로서비스란?
쉽게 말해 건설근로자를 위한 전용 온라인 은행이자 주민센터입니다.
예전에는 퇴직공제금 적립 내역을 확인하거나 서류를 떼려면 직접 공제회 지사를 찾아가야 했지만, 이제는 하나로서비스 사이트나 앱을 통해 집에서도 편하게 모든 업무를 볼 수 있습니다.
- 핵심 기능: 퇴직공제금 적립 내역 조회, 긴급 생활안정대부 신청, 무료 건강검진 등 복지 신청
- 접속 주소: 1122.cw.or.kr (모바일 앱 스토어에서 '하나로서비스' 검색)
https://1122.cw.or.kr/index.do
건설근로자 하나로서비스
1122.cw.or.kr

1. 가장 중요한 퇴직공제금 조회 방법
일용직으로 여러 현장을 다니다 보면 내가 며칠이나 일했는지, 공제금은 제대로 적립되고 있는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내 돈이 잘 쌓이고 있는지 확인하는 건 근로자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 로그인: 사이트에 접속해 공동인증서나 카카오톡 등으로 간편 로그인을 합니다.
- 내역 확인: 메인 화면에 있는 '퇴직공제금 적립내역' 버튼을 누릅니다.
- 상세 조회: 내가 일했던 현장별로 며칠이 신고되었고, 얼마가 적립되었는지 쭉 나옵니다.
- 팁: 만약 내가 실제 일한 날짜보다 적게 신고되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부정수급 신고센터'나 1666-1122로 전화해서 정정을 요청하세요.
2. 모르면 못 받는 현금성 복지 혜택
많은 분들이 퇴직금만 생각하시는데, 공제회에서는 근로자분들을 위한 다양한 복지 사업을 운영 중입니다. 이건 신청하는 사람만 받을 수 있는 혜택이니 자격 요건(적립일수 등)을 꼭 확인해 보세요.
- 종합 건강검진 (무료): 본인 부담금 0원으로 MRI, 초음파, 내시경 등 비싼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장 인기가 많으니 연초에 빨리 신청하세요!)
- 결혼 및 출산 지원금: 자녀가 결혼하거나 아이를 낳았을 때 축하금을 지원합니다. 최대 50만 원까지 지급되기도 하니 등본 떼서 꼭 신청하세요.
- 자녀 장학금: 대학생 자녀가 있다면 협성장학금을 고교생 자녀에게는 교육비를 지원합니다.
- 휴가 지원: 가족과 함께 여행을 갈 때 휴가비를 포인트 형태로 지원해 줍니다.
신청 방법: 하나로서비스 홈페이지 상단 메뉴에서 복지서비스 > 서비스 신청을 클릭하면 됩니다.
3. 전자카드로 내 기록 내가 챙기기
요즘 현장 출퇴근할 때 단말기에 카드 찍으시죠? 그게 바로 전자카드제입니다.
스마트폰에 '건설근로자 공제회' 앱을 깔아두면, 내가 카드를 찍을 때마다 실시간으로 출퇴근 기록이 남습니다. 나중에 사업주가 공제금을 누락했을 때, 이 앱의 기록이 아주 확실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퇴직공제금은 언제찾을 수 있나요?
A. 원칙적으로는 건설업에서 완전히 은퇴(퇴직)할 때 받습니다. 하지만 만 60세 이상이거나, 적립일수가 부족해도 만 65세 이상이 되면 신청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Q. 급전이 필요한데 대출도 되나요?
A. 네, 가능합니다! 적립된 퇴직공제금의 50% 한도 내에서 무이자로 생활안정자금을 빌릴 수 있습니다. (결혼, 질병, 자녀 학자금 등 사유 필요) 고금리 대출 쓰기 전에 이거 먼저 확인하세요.
Q. 비밀번호가 기억 안 나요.
A. 요즘은 아이디/비번 찾느라 고생하실 필요 없습니다. 간편인증(카카오, PASS 등)을 이용하면 휴대폰 하나로 10초 만에 로그인됩니다.
마무리하며
건설 현장은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워 정말 고생스러운 곳입니다. 여러분이 흘린 땀방울만큼, 챙겨야 할 권리와 혜택은 10원 하나라도 놓치지 않고 다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바로 핸드폰을 켜고 '건설근로자 하나로서비스'에 접속해서, 내 적립금이 얼마나 모였는지 확인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