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ois.kdca.go.kr) 은 국내외 질병 발생 현황, 역학조사 데이터, 예방접종 정보 등 국가 보건 안보에 필수적인 핵심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 분석, 관리하는 대한민국 보건 역량의 핵심 인프라입니다.

 

질병관리청-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https://ois.kdca.go.kr/

 

질병관리청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ois.kdca.go.kr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어떤 일을 할까요?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은 전국의 의료기관과 보건소가 감염병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대응하는 국가적인 전산망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에서 독감 환자가 급증하면, 각 병원에서 이 시스템에 관련 정보를 입력합니다. 그러면 질병관리청은 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국적인 유행 상황을 파악하고, 신속하게 예방 수칙을 알리거나 백신 수급 계획을 세우는 등 발 빠른 조치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감염병 감시 및 신고: 법정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의료기관이 즉시 신고하고,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 예방접종 관리: 우리 아이들이 맞은 예방접종 기록부터 어르신들의 폐렴구균 접종까지, 모든 예방접종 정보가 이 시스템을 통해 통합 관리됩니다.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과 연계되어 국민들이 자신의 접종 기록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검사 및 진단 지원: 감염병 의심 환자의 검체를 의뢰하고, 그 결과를 온라인으로 신속하게 확인하는 전 과정을 지원합니다.
  • 의료기관 간 정보 공유: 전국의 의료기관 및 관련 기관들이 감염병 실태조사 등의 정보를 공유하며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질병관리청-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1

 

최근 시스템 개편과 안정화 노력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화재로 인해 일시적으로 시스템 접속에 장애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더욱 효율적인 방역 업무를 위해 기존의 '감염병관리통합정보지원시스템'이 '방역통합정보시스템'으로 전환되는 등 지속적인 개편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더 빠르고 정확한 감염병 대응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민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질병관리청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우리가 알아두면 좋은 점

일반 국민이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에 직접 접속할 일은 많지 않습니다. 주로 의료인이나 보건소 관계자들이 사용하는 전문가용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시스템 덕분에 우리가 감염병 유행 상황을 신속하게 전달받고, 예방접종 기록을 편리하게 관리하며, 보건소에서 다양한 건강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한민국의 보이지 않는 곳에서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힘쓰는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앞으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우리의 건강한 일상을 든든하게 지켜주기를 기대합니다.

 

댓글